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만금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최초 지정

by songtori 2022. 12. 28.
반응형

지난 27일 율하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지정소식을 보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정된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관련 내용을 찾아보았다.

- 산단 에너지 자립·체질개선 첫걸음… RE100 실현 추진 -

지난 2022년 7월에 국토교통부와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국가산업 단지(5・6공구)’를 국내 최초의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로 지정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란, 신규 산업단지를 에너지 사용 최소화 및 재생 에너지 공급 확대, 기업 생산지원 인프라 구축, 쾌적한 정주여건 등 미래형 산업단지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 국토교통부는 「산업입지법」 개정(‘20.12)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후, 「스마트그린산업단지의 지정 및 개발에 관한 지침(‘21.12)」을 고시하여 세부 개발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스마트그린 산단의 성공모델 마련과 전국적 확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난해 4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5, 6공구)를 스마트그린 산단 후보지로 선정*한 바 있다. 

새만금 스마트그린산단은 온실가스 25% 감축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자립을 위한 산업단지로, 2040년까지 RE100(산업단지 사용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공급·소비) 산업단지를 실현할 예정이다.

  • 목표 달성을 위해 단기적(~‘29)으로 건물 옥상(주차장 등) 30MW, 선도 사업 30MW, 추가조성 120MW를 통한 총 180MW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성할 예정이며, 장기적(~‘40)으로는 수상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을 활용하여 RE100 실현을 지원한다.

산업단지에 적용 예정인 신산업 및 신기술로는, 에너지 데이터를 수집· 활용·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을 제고하는 에너지통합플랫폼을 추진할 계획이다.

  •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전력과 에너지를 운영할 수 있는 마이 크로그리드(독립 전력망)를 적용할 예정
  • 석탄 화력 발전소의 무탄소 연료전환을 위하여 연소 후에도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암모니아 혼합연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저감과 친환경 열에너지 공급을 추진할 계획
  •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통합안전시스템, 드론관제 등 구축을 추진할 예정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사업 개요

1. 개요

가. 명 칭 :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나. 위 치 : 새만금지구 국가산업단지 내 5·6공구

다. 면 적 : 3,709,063㎡

라. 사업기간 : 2008년 ~ 2023년(새만금지구 국가산단 전체) * 5·6공구는 (매립공사) ‘14년∼’ 20년, (산단조성공사) ‘20년∼’ 23년, (산단입주) ‘24년∼

마. 사업목적

ㅇ 친환경 에너지로 자립하는 신재생에너지 산단 구축

ㅇ 스마트그린 기술이 적용되는 미래지향 친환경 산단 조성 바. 사업 시행자 : 한국농어촌공

 

2. 목표 및 추진전략

새만금 스마트그린 산단

3. 주요내용

  • (RE100 추진방안) 산단 조성시점, 기업입주시기, 재생 E 발전시기, 제도적 기반마련 등을 종합하여 단계적 이행전략* 수립
  • (에너기계획) 신재생에너지*(태양광) 10%, 고효율설비 8.8%, 집단에너지 8.4% 공급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율 27.2%** 달성(1단계, ~‘29)
  • (토지이용·녹지) 재생 E부지 및 통합관제센터 부지 확보,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업종 배치, 녹지 확보, 탄소흡수량이 우수한 식재 고밀화 등
  • (교통계획) 스마트 교통 인프라* 및 개인용 모빌리티(자전거) 구축 등
  • (기타 계획) 제로에너지건축물 등 친환경건축 유도, 복합에너지 충전소, 통합안전시스템 구축 계획, 물순환 저영향개발(LID) 기법 도입 등

새만금 컨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