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율하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지정소식을 보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정된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관련 내용을 찾아보았다.
- 산단 에너지 자립·체질개선 첫걸음… RE100 실현 추진 -
지난 2022년 7월에 국토교통부와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국가산업 단지(5・6공구)’를 국내 최초의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로 지정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란, 신규 산업단지를 에너지 사용 최소화 및 재생 에너지 공급 확대, 기업 생산지원 인프라 구축, 쾌적한 정주여건 등 미래형 산업단지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 국토교통부는 「산업입지법」 개정(‘20.12)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후, 「스마트그린산업단지의 지정 및 개발에 관한 지침(‘21.12)」을 고시하여 세부 개발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스마트그린 산단의 성공모델 마련과 전국적 확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난해 4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5, 6공구)를 스마트그린 산단 후보지로 선정*한 바 있다.
새만금 스마트그린산단은 온실가스 25% 감축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자립을 위한 산업단지로, 2040년까지 RE100(산업단지 사용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공급·소비) 산업단지를 실현할 예정이다.
- 목표 달성을 위해 단기적(~‘29)으로 건물 옥상(주차장 등) 30MW, 선도 사업 30MW, 추가조성 120MW를 통한 총 180MW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성할 예정이며, 장기적(~‘40)으로는 수상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을 활용하여 RE100 실현을 지원한다.
산업단지에 적용 예정인 신산업 및 신기술로는, 에너지 데이터를 수집· 활용·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을 제고하는 에너지통합플랫폼을 추진할 계획이다.
-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전력과 에너지를 운영할 수 있는 마이 크로그리드(독립 전력망)를 적용할 예정
- 석탄 화력 발전소의 무탄소 연료전환을 위하여 연소 후에도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암모니아 혼합연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저감과 친환경 열에너지 공급을 추진할 계획
-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통합안전시스템, 드론관제 등 구축을 추진할 예정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사업 개요
1. 개요
가. 명 칭 :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나. 위 치 : 새만금지구 국가산업단지 내 5·6공구
다. 면 적 : 3,709,063㎡
라. 사업기간 : 2008년 ~ 2023년(새만금지구 국가산단 전체) * 5·6공구는 (매립공사) ‘14년∼’ 20년, (산단조성공사) ‘20년∼’ 23년, (산단입주) ‘24년∼
마. 사업목적
ㅇ 친환경 에너지로 자립하는 신재생에너지 산단 구축
ㅇ 스마트그린 기술이 적용되는 미래지향 친환경 산단 조성 바. 사업 시행자 : 한국농어촌공
2. 목표 및 추진전략
3. 주요내용
- (RE100 추진방안) 산단 조성시점, 기업입주시기, 재생 E 발전시기, 제도적 기반마련 등을 종합하여 단계적 이행전략* 수립
- (에너기계획) 신재생에너지*(태양광) 10%, 고효율설비 8.8%, 집단에너지 8.4% 공급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율 27.2%** 달성(1단계, ~‘29)
- (토지이용·녹지) 재생 E부지 및 통합관제센터 부지 확보,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업종 배치, 녹지 확보, 탄소흡수량이 우수한 식재 고밀화 등
- (교통계획) 스마트 교통 인프라* 및 개인용 모빌리티(자전거) 구축 등
- (기타 계획) 제로에너지건축물 등 친환경건축 유도, 복합에너지 충전소, 통합안전시스템 구축 계획, 물순환 저영향개발(LID) 기법 도입 등
댓글